본문 바로가기

일상후기

남성 염증성 여드름 관리 후기 (2016년~ 현재)

반응형

 

저의 여드름 치료하기 위한 과정에 대해 얘기해보려고 합니다.

 

많은 분들이 여드름으로 고생하실텐데, 제가 겪어왔던 것을 적어보고 여드름을 어떻게 개선해야할지 도움을 받았으면 합니다.

 

결론적으로 저는 이소트레티노인을 먹기 시작한 24년도 7월 달 부터 여드름이 생기는 빈도가 확 줄어들었습니다.

 

왜냐하면 이전에 했던 다른 시도들은 어느 정도 도움이 되기는 하였지만, 이소트레티노인을 복용했을 때보다는 여드름 생기는 빈도가 확연히 다르기 때문이었습니다.

 

 

1. 여드름 발생시기.

 

중고등학생 시절에 안 났던 여드름이 23살 때부터 이마와 볼에 났었고, 이후 20대 후반이 되면서 이마와 볼이 안 나기 시작했지만 대신에 입주변과 턱 주변에만 여드름이 많이 났습니다.

 

학창시절에는 코에 블랙헤드도 없고 피부 유분기도 많지 않았었고, 피부도 좋았던 편이었는데 23살 때부터 이상하게 그 때부터 여드름이 나기 시작했고, 코에 블랙헤드도 많아졌습니다. 23살 때부터 피지선이 활발히 활동한 것으로 보입니다.

 

 

 

2. 여드름 관련 했었던 것들 정리

 

저는 여드름을 개선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시도를 해보았습니다.

EBS 여드름 명의 분의 식습관이 중요하다라는 의견을 듣고, 극단적으로 단 음식, 밀가루 음식을 절제했었고

유튜브에 영어로 여드름 없애는 방법을 검색하면서 어떠한 영양제들이 여드름을 없애는 데 도움이 되는지 확인하고 이를 적용했었던 적도 있습니다. 

 

하지만 결국에는 이소트레티노인을 복용하고 나서야 여드름이 확연히 개선된 효과를 보았습니다.

 

ㅁ 이소트레티노인 복용 ★ ★ ★

 

 가장 효과가 좋았습니다.

부작용 때문에 먹기 싫었었는데, 여드름이 완전 개선이 되지 않아 먹어는데 먹기 전과 후가 완전히 달랐습니다.

저는 처음부터 3일에 1알 정도 먹었고, 효과를 본 건 한 달 뒤 즈음이었습니다.

3일에 1알 먹어도 건강검진 상에 특이사항은 현재까지는 없고, 입술은 건조한 느낌을 달고 살며, 눈은 매일은 아니고 정말 가끔씩 건조해서 인공눈물을 넣어줄 때도 있습니다. 그래도 그렇게까지 심한 건조함은 아니라서 일상생활하는데 지장은 없습니다.

 

ㅁ 물로만 세안 ★

 화장품을 바르면 여드름이 더 심해졌고, 폼클렌징이나 비누로 세안하고 나면 너무 건조해져서 차라리 물로만 세안하면 어떨까 라는 생각에 시작을 하게되었습니다. 물로만 세안했을 때가 저한테는 폼클렌징이나, 비누로 세안했을 때보다 여드름이 더 적게났습니다.

 

 

ㅁ 화장품 중단 

 피지분비가 거의 없는 눈가를 제외한 모든 부분의 화장품을 바르는 것을 중단했습니다. 눈가에는 아이크림을 발라주었습니다.

스킨, 로션, 수분크림 등등 바르기만 하면 여드름이 올라와서 어떠한 화장품도 나에게는 맞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ㅁ 먹을 거 가려먹기 

 

저는 특히나 두유를 먹게 되면 이마에 여드름이 많이 올라옵니다. 어떤 이유에서인지는 모르겠지만, 두유를 먹게되면 이마에 여드름이 올라와서 두유는 먹지 않습니다.

 

단 음식, 밀가루 음식 적게 먹기 또한 여드름이 나지 않는 것에 도움이 되었지만, 이소트레티노인 만큼 효과적이지는 않았습니다.

 

 

ㅁ 항생제 복용 

 

피부과에 처음 갔을 때 줬었던 약이었습니다.

염증성 여드름에는 이소트레티노인 보다는 항생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다는 의사 분 의견에 따라 복용을 시작했습니다.

복용을 시작하고 여드름이 나는 빈도가 줄었지만, 이소트레티노인 만큼 효과가 극대적이지는 않았습니다.

 

 

ㅁ 나딕사 크림 ★

 여드름이 생겼을 때 발라주었고, 최대한 여드름이 커지지 않게 해주었으며 색소침착이 최대한 덜 생기게 해주었습니다.

 

 

ㅁ 크레오신티 ★

 여드름이 생길 것 같은 부위에 발라주었습니다. 그렇지만 항생제를 복용하면서 크레오신티를 발라본적이 있었는데, 그 때도 여드름이 나기는 했습니다. 역시 이소트레티노인의 막강한 힘은 이길 수가 없나 봅니다.

 

 

ㅁ 식초 세안

 효과가 전혀 없었습니다. 여드름이 나는 건 똑같이 났습니다.

 

ㅁ 약산성 폼클렌징

 오히려 여드름이 악화가 되었습니다. 제 피부에 약산성 폼클렌징과 같은 것들을 안 맞는다고 생각했고, 다시 물세안으로 돌아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ㅁ 아연 영양제

 속만 쓰리고, 어지럽고 또한 여드름이 더 악화되는 피부 상태를 보고 중단했습니다.

 

ㅁ 밀크씨슬

 별 다른 효과를 보지 못했습니다. 늘 나던 여드름 대로 났습니다.

 

ㅁ 오메가3

 별 다른 효과를 보지 못했습니다. 늘 나던 여드름 대로 났습니다.

 

ㅁ 비타민C

 별 다른 효과를 보지 못했습니다. 늘 나던 여드름 대로 났습니다.

 

ㅁ 비타민B 영양제

 여드름이 더 악화되었습니다. 검색해보니 특정 비타민 B군이 여드름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고 합니다.

 

ㅁ 에너지 드링크 복용

 그냥 무심코 한 번 괴물 흰색 음료를 복용해봤는데 입주변에 하얗게 화이트 헤드가 올라와서 다시는 먹지 않습니다.

 

ㅁ 콜라겐 영양제

 별 다른 효과를 보지 못했습니다. 늘 나던 여드름 대로 났습니다.

 

ㅁ 염증주사

 염증주사 몇 번 맞아봤었는데, 오히려 살이 패이는 등의 부작용이 있어 그 이후로 여드름에는 염증주사를 맞지 않습니다.

여드름이 난 부위를 빠르게 가라앉혀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지만, 안 맞으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ㅁ 녹차

 별 다른 효과를 보지 못했습니다. 늘 나던 여드름 대로 났습니다.

 

 

 

4. 이소트레티노인을 먹을 때 주의할 점

 

 여성분들은 기형아 출산의 위험이 있어 임산부나 임신을 계획중이라면 복용하시면 안 됩니다.

또한 독시사이클린과 미노사이클린 같은 항생제와 같이 복용하시면 안됩니다.

 

 

5. 여드름 참고했던 정보들

 

ㅁ 이소트레티노인 약학 정보 :

https://nedrug.mfds.go.kr/pbp/CCBBB01/getItemDetailCache?cacheSeq=200301825aupdateTs2024-12-06%2009:46:40.752785b

 

ㅁ 유튜브에서 함익병 검색

 

ㅁ 여드름 식단 후기

https://www.youtube.com/watch?v=eiC7OXCR64E&t=813s

 

ㅁ 서울대병원 : 여드름 관련 논문

http://www.snuh.org/board/B003/view.do?bbs_no=1457&searchKey=all&searchWord=&pageIndex=2

 

ㅁ 나딕사 크림 관련 정보

https://blog.naver.com/bundangleejiham/221715427908

ㅁ The FASTEST Way to Rid Acne - Dr. Berg

https://www.youtube.com/watch?v=LYCHHYFS3gA

 

 

반응형